IKAA

    베트남 관련 전근대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와 활용

    관리자 2017-07-07 18:05 3457

    베트남 관련 전근대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와 활용

     

    (동북아역사재단)주성지 

    1. 머리말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가 디지털의 형태로 전환되어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1) 디지털로 구축된 역사자료에 기반한 역사학 연구는 그 이전에 비하여 연구방법론의 변화, 연구성과의 양적질적으로 확대 등 다양하게 진전되었다. 특히 양적인 면에서의 확대는 주목할 만 하다.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한국사연구휘보를 분석하면, 1990년대의 연구논문 발표건수는 연평균 1,738건이었다. 역사정보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한 시기를 1999년부터로 본다면,2) 2000년대에 들어서는 대량 구축의 체제로 접어들었다.3) 그 결과로 인하여 2010~2016년까지로 한정한 2010년대 한국사 연구성과 발표건수는 연평균 3,126건에 이르렀다.4)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는 역사자료는 역사학 특히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이라는 수단 때문인지, 역사자료에 대한 대중적 접근성도 높아졌다. 물론 연구 성과의 확대라는 현상을 단순하게 디지털 역사자료의 등장으로만 이해할 수는 없고, 사회의 다변화, 연구자 인적 구성의 확대 등도 주요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하지만 역사정보화 이후, 동일한 시간에 확인할 수 있는 사료의 양이 증가된 점은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결국 한국사에서 연구의 다양성과 양적의 확대라는 양상은 한국 역사정보화의 주요한 산물이다.

    이와 같이 최근 한국사 연구에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되는 디지털 역사자료는 다음의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 번째는 외국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경향과는 다르게 국가 주도 사업으로 추진되었다.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중심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는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과 지속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두 번째는 자료에 대한 신뢰도 문제이다. 역사정보화 사업은 고전적류 원본에 대한 보존적 측면이 강조되며 시작되었다. 그래서 원본과 동일한 고해상도 스캔 및 촬영 이미지가 구축되고 인터넷으로 제공되었다. 또한 한자(漢字) 텍스트 추출 기술이 발전5)함에 따라, 전문(全文) 텍스트의 웹서비스가 가능해졌다. 대체로 사료를 소장하거나 간행한 기관에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디지털 역사자료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편이다. 세 번째는 텍스트 자료 중심의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한다는 점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는 원본이미지만이 아니라 본문 텍스트까지를 DB로 구축하고 있다. 이로서 모든 글자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여 자료를 찾기가 수월해졌다. 네 번째로 한자(漢字)-한글에 대한 검색 효율이 높다는 점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자는 다중음가를 갖으며, 다양한 이체자 및 이형자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자에 대해서 한글로 모두 검색이 가능하도록 검색엔진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검색시스템이 실현되었다. 마지막으로는 활용가치가 높다는 점이다. 주요자료에 대한 국역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검색 고도화 등은 연구자 뿐 아니라 대중적인 이용율을 높였다. 이에 따라 연구성과 또는 문화산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베트남사에 대한 연구성과는 근현대 연구와 전근대사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베트남의 근현대 연구는 식민지 경험에 대한 인식의 공유와 베트남전쟁에 대한 현실적인 공유가 있었기 때문에 정치학, 경제학 등의 분야까지 확대되어 연구되었다. 이에 비하여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 사료에 기초한 한-베 관계사6)와 베트남 현지 사료를 중심으로 한 연구7)로 구분된다. 사실 베트남사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2007년 역사학회 및 베트남 사학계가 공동으로 개최한 역사 속의 베트남-한국 관계”8)라는 공동학술회의를 꼽을 수 있겠다. 이어 2008동아시아 세계에 대한 인식과 동아시아 지역 배경 속에서의 베-한 관계라는 주제9), 2009년에는 한국의 조선 왕조 후기와 베트남 응우옌 왕조라는 주제10)로 학술회의가 개최되었다.11) 이렇게 베트남사에 대한 연구가 꾸준하게 진행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베트남 관련 전근대 사료에 대한 접근성은 제한적이었다.

    필자는 지난 20175월 동북아역사재단-베트남 사회과학원 공동 컨퍼런스를 계기로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를 정리하였고, 이어서 이글을 준비하였다. 본고는 한-베 간의 역사연구 활성화를 위하여 베트남 전근대 역사자료의 현황을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조사 정리한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우선 국내에서 제공되는 사료와, 베트남 현지 사료이다. 국내 제공 사료 중에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의 주요 정사류 사서를 포함한 󰡔명실록󰡕, 󰡔청실록󰡕 그리고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넷에서 제공하는 󰡔역주 중국정사 외국전󰡕이 대표적일 것이다. 그렇지만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에서 제공하는 󰡔한국문집총간󰡕 등은 개인의 문집 속에 묘사된 베트남 관련 기록을 찾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베트남 현지 역사자료는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된 한문 고전적류의 디지털 버전이다. 현재 미 베트남놈보존재단(, Vietnamese Nôm Preservation Foundation, 이하 보존재단)과 베트남국립도서관 디지털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고 있는데 2,000 여 책에 육박한다.12)

    본고에서 필자는 비전공자의 입장에서 우리나라에서 제공되는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와, 베트남 현지 역사자료의 디지털 버전을 소개하고 활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 베트남 관련 국내 제공 사료의 현황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역사자료 정보화 수준은 제법 높은 편이다. 2000년대 본격적으로 구축된 역사자료는 대규모의 구축사업이 진행되어 20174월 현재 공공부분에서 약 1,276만 여건의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다.

     

    [1]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 현황(공공부문)

    구분

    주요자료

    제공처

    제공건수

    고도서

    정사류, 실록, 편년자료, 사서, 문집,
    지리지 등

    국사편찬위원회 서울대규장각

    한국고전번역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3,459,415

    고문서

    조선시대  왕실문서, 공문서, 간찰,
    일기, 분재기, 매매문서 등

    서울대규장각 한국국학진흥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92,873

    도서

    근현대 도서, 독립운동 관련 자료,
    통계자료 등

    국사편찬위원회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등

    1,360,490

    문서

    개항기문서, 일제강점기문서,
    일본외무성문서, 미국NARA문서 등

    국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동북아역사재단 등

    692,876

    연속

    간행물

    관보, 근현대 잡지, 근현대 신문

    국사편찬위원회 국립중앙도서관

    독립기념관 등

    4,782,220

    고전

    국역서

    사서, 외교서, 지리서 등 국역자료

    국사편찬위원회 국립중앙도서관

    동북아역사재단 등

    920,177

    연구자료

    각 기관 발간 학술잡지,
    한국사연구휘보 등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등

    283,785

    인물

    역대인물정보, 문과무과방목,
    독립운동가인물, 일제감시대상 등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등

    283,766

    지도

    조선시대고지도, 조선총독부발간지도, 독도동해고지도

    서울대규장각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5,999

    사전

    한국사기초사전, 용례사전,
    관직명사전 등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4,518

    멀티미디어

    의궤자료, 사진유리필름자료,
    문화화상자료 등

    서울대규장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224,316

    유물-유적

    독립운동유적지, 암각화, 고분벽화,
    영남 유교문화유적 등

    독립기념관 한국국학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등

    10,142

    금석문

    금석문자료, 목간자료

    국사편찬위원회 등

    3,557

    기타

    목록해제, 연표 등

    서울대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639,798

    12,763,932

     

    먼저 베트남 관련 역사자료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에서 검색어를 넣고 결과를 확인했다. 검색어는 越南安南이다. 20,618건이 검색된다.13) 고도서고문서부터 연구자료 및 멀티미디어자료까지 다양하게 검색된 결과이다. 적어도 우리나라에서 제공되는 역사자료에서 20,000여 건이 넘는 베트남 관련 자료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대를 전근대로 제한하고 잉여검색을 제외하며, 간행지역 역시 우리나라로 제한할 경우는 좀 더 좁혀질 것이다.

    한편 다음 [2]에서는 정사와 조선시대 관찬 편년사서의 웹서비스 현황을 소개하였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정사와 관찬 연대기 자료에서는 당시 조정에서 논의되었던 베트남 관련 사실을 검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검색하려는 주제와 내용에 따라 정보의 편차가 다양할 것으로 생각되어, 여기에서는 웹사이트 URL을 소개하는 정도에 그치고자 한다.

     

    [2] 정사 및 관찬 편년사서 웹서비스 현황

     

    자료명

    URL

    서비스 기관

    비고

    1

    고려사

    http://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r

    국사편찬위원회

    국역/원문

    2

    고려사절요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원문

    http://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j

    국사편찬위원회

    국역/원문

    3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국사편찬위원회

    고종 순종실록 포함

    국역/원문/원본

    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list?itemId=JT&gubun=book

    한국고전번역원

    국역

    http://kyudb.snu.ac.kr/series/main.do?item_cd=JWS

    서울대 규장각

    기사제목/원본

    4

    승정원일기

    http://sjw.history.go.kr

    국사편찬위원회

    원문

    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list?itemId=ST&gubun=book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인조,영조,고종,순종)

    http://kyudb.snu.ac.kr/series/main.do?item_cd=SJW

    서울대 규장각

    기사제목/원본

    5

    비변사등록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bb

    국사편찬위원회

    국역/원문

    http://kyudb.snu.ac.kr/series/main.do?item_cd=VBS

    서울대 규장각

    기사제목/원본

    6

    일성록

    http://kyudb.snu.ac.kr/series/main.do?item_cd=ILS

    서울대 규장각

    원문/원본

    http://db.itkc.or.kr/dir/item?itemId=IT#/dir/list?itemId=IT&gubun=book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영조,정조)

    7

    청실록

    http://sillok.history.go.kr/mc/main.do

    국사편찬위원회

    원문/원본
    (北平圖書館 소장 紅格本)

     

    조선시대 편찬된 정사와 관찬 편년사서 외에도 문집자료는 중요한 자료군이다. 문집자료 본문 검색이 가능한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14)에서 위의 두 개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결과는 모두 1,331건이 나왔다. 그 중에서 고전원문한국문집총간의 본문만을 대상으로 정리하였다. 두 자료군을 선택한 이유는 고전원문의 경우는 주요 백과전서를 포함하고 있고, “한국문집총간은 통일신라부터 개항기까지의 개인 문집자료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두 자료군 공히 전근대 공공기록에 수록되지 못한 개인의 활동을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물론 두 자료군에는 세부적인 자료의 중복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한국문집총간의 󰡔금남선생문집󰡕과 고전원문의 󰡔표해록󰡕은 분명히 중복자료이다. 이런 경우 필자의 판단에 의해 제거하여 목록에서는 제외했지만, 미처 발견하지 못한 중복자료가 있을 것이다. 아무튼 한국고전종합DB에서 검색된 자료는 고전원문” 151, “한국문집총간” 304건이다. “고전원문󰡔고려사절요󰡕에서 검색된 9건을 제외하면 모두 446건이다. 역사정보 검색사이트에서 특정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가 모두 적확한 데이터는 아니다. 결국 연구자가 검색결과를 검토해서 정확한 결과를 선별하여야 한다. 따라서 446건에 대한 검토를 거쳐, 명백하게 베트남 관련 사료가 아닌 것과 불분명한 것을 제외하였다. 이에 따라 선별된 사료는 모두 263건이다. 이를 다시 서명단위로 분류하면 104종의 자료로 정리할 수 있었다. 다음의 표는 한국고전종합DB에서 검색하여 정리한 베트남 관련 사료의 목록이다.

     

    [3] 한국고전종합DB 베트남 관련 사료 현황

    서명

    //필자

    간행년도

    관련

    기사수

    서명

    //필자

    간행년도

    관련

    기사수

    가오고략(嘉梧藁略)

    李裕元

    미상

    1

    송자대전(宋子大全)

    宋時烈

    1901

    1

    간이집(簡易集)

    崔岦

    1631

    1

    송호집(松湖集)

    兪彦述

    1832

    1

    강한집(江漢集)

    黃景源

    1790

    2

    수산집(修山集)

    李種徽

    1799

    3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

    申緯

    미상

    1

    식산집(息山集)

    李萬敷

    1813

    1

    계곡집(谿谷集)

    張維

    1643

    3

    심전고(心田稿)

    朴思浩

    1828

    1

    계산기정(薊山紀程)

     

    미상

    2

    약천집(藥泉集)

    南九萬

    1723

    1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崔致遠

    1834

    3

    양원유집(陽園遺集)

    申箕善

    미상

    1

    과암집(果菴集)

    宋德相

    1933

    1

    어우집(於于集)

    柳夢寅

    1832

    1

    관암전서(冠巖全書)

    洪敬謨

    미상

    1

    여와집(餘窩集)

    睦萬中

    미상

    2

    구전집(苟全集)

    金中淸

    1831

    2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丁若鏞

    미상

    13

    국포집(菊圃集)

    姜樸

    1775

    1

    역옹유고(櫟翁遺稿)

    李正臣

    미상

    1

    귀록집(歸鹿集)

    趙顯命

    미상

    1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成海應

    미상

    13

    규창유고(葵窓遺稿)

    李健

    1712

    1

    연암집(燕巖集)

    朴趾源

    1932

    2

    극원유고(屐園遺稿)

    李晩秀

    미상

    2

    연원직지(燕轅直指)

    金景善

    1832

    3

    금계일기(錦溪日記)

    魯認

    1599

    2

    연행기(燕行紀)

    徐浩修

    1870

    24

    금계집(錦溪集)

    魯認

    1823

    2

    연행기사(燕行記事)

    李𡊠

    1777

    2

    금남집(錦南集)

    崔溥

    1571

    3

    연행록(燕行錄)

    金正中

    1791

    3

    기언(記言)

    許穆

    1772

    1

    영재집(泠齋集)

    柳得恭

    미상

    4

    기측체의(氣測體義)

    崔漢綺

    1836

    1

    오산집(五山集)

    車天輅

    1909

    1

    낙하생집(洛下生集)

    李學逵

    미상

    1

    오주연문장전산고

    (五洲衍文長箋散稿)

    李圭景

    미상

    21

    난중잡록(亂中雜錄)

    趙慶男

    1964

    1

    완당전집(阮堂全集)

    金正喜

    1934

    1

    노봉집(老峯集)

    閔鼎重

    1734

    3

    용주유고(龍洲遺稿)

    趙絅

    1703

    1

    눌재집(訥齋集)

    梁誠之

    1791

    1

    운양집(雲養集)

    金允植

    1930

    3

    담헌서(湛軒書)

    洪大容

    1939

    1

    월사집(月沙集)

    李廷龜

    1636

    2

    동각잡기(東閣雜記)

    李廷馨

    미상

    1

    의암집(毅菴集)

    柳麟錫

    1917

    1

    동강집(東岡集)

    金宇顒

    1723

    2

    이계집(耳溪集)

    紀昀

    1843

    1

    동문선(東文選)

     

    1478

    1

    이암유고(頤庵遺稿)

    宋寅

    1634

    1

    동사록(東槎錄)

    姜弘重

    1624

    2

    이해학유서(李海鶴遺書)

    李沂

    미상

    1

    동사일록(東槎日錄)

    金指南

    1682

    1

    일사집략(日槎集略)

    李𨯶永

    1881

    3

    동상집(東湘集)

    金元行

    1870

    1

    자저(自著)

    兪漢雋

    미상

    1

    동주집(東州集)

    李敏求

    미상

    1

    정유각집(貞㽔閣集)

    朴齊家

    미상

    2

    매창집(梅窓集)

    鄭士信

    1821

    2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

    李純之

    2013

    1

    면암집(勉菴集)

    崔益鉉

    1909

    1

    존재집(存齋集)

    魏伯珪

    1875

    2

    면우집(俛宇集)

    郭鍾錫

    1925

    2

    증소집(橧巢集)

    金信謙

    미상

    1

    몽경당일사(夢經堂日史)

    徐慶淳

    1855

    1

    지봉유설(芝峯類說)

    李睟光

    1633

    11

    몽예집(夢囈集)

    南克寬

    1723

    2

    지봉집(芝峯集)

    李睟光

    1633

    22

    백곡집(栢谷集)

    鄭崐壽

    1710

    2

    지퇴당집(知退堂集)

    李恒福

    미상

    1

    백사집(白沙集)

    李恒福

    1629

    1

    창석집(蒼石集)

    李埈

    1631

    3

    병와집(甁窩集)

    李衡祥

    1774

    2

    창하집(蒼霞集)

    元景夏

    1773

    1

    부연일기(赴燕日記)

     

    1828

    1

    청성집(靑城集)

    成大中

    1840

    1

    사가집(四佳集)

    徐居正

    1705

    2

    청음집(淸陰集)

    金尙憲

    1654

    1

    사재집(思齋集)

    金正國

    1591

    1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李德懋

    1900

    8

    석재고(碩齋稿)

    尹行恁

    헌종 연간

    1

    패관잡기(稗官雜記)

    魚叔權

    미상

    1

    설정집(雪汀集)

    宋時烈

    1820

    4

    표주록(漂舟錄)

    李志恒

    1756

    1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許筠

    미상

    2

    풍석전집(楓石全集)

    徐有榘

    미상

    1

    성호사설(星湖僿說)

    李瀷

    1760 추정

    6

    하곡집(霞谷集)

    鄭齊斗

    미상

    1

    소릉집(少陵集)

    李尙毅

    1708

    1

    하재일기(荷齋日記)

    池圭植

    1911

    1

    소암집(疎菴集)

    任叔英

    19세기경

    2

    해동잡록(海東雜錄)

    權鼈

    1670

    1

    소호당집(韶濩堂集)

    兪樾

    1927

    1

    해상록(海上錄)

    魏伯珪

    1786

    1

    속잡록(續雜錄)

    趙慶男

    1964

    2

    허백정집(虛白亭集)

    미상

    1843

    1

    손재집(損齋集)

    南漢朝

    미상

    1

    형재시집(亨齋詩集)

    李稷

    1737

    1

    송애집(松崖集)

    李象秀

    1871

    1

    호음잡고(湖陰雜稿)

    鄭士龍

    1577

    1

    104, 263

     

    //필자의 경우, 기사의 저자 혹은 필자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문집의 저자는 아니다. 간행년도는 한국고전종합DB에서 제공한 것을 따랐다.

     

    위의 검색결과 중에서 최치원(崔致遠)󰡔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이 가장 주목된다. 이 자료에서 베트남과 관련된 기사는 모두 3건이다. 그 중 보안남록이도기(補安南錄異圖記)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안남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록이다.15) 내용은 교지(交趾)의 지리와 형승, 역사, 제도, 풍습, 물산 등을 기록하였다. 제목에 ()”라고 접두어가 붙어 있는데, 원래는 유원군(柔遠軍)從事인 오강(吳降)이 도경(圖經)을 편집하여 󰡔록이(錄異)󰡕라고 이름지었고, 이를 보충하여 정리한 글이기 때문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치원은 9세기 신라인이다. 따라서 이 글은 고대 한국인이 기록한 베트남 관련 최초의 글이 되는 셈이다.

    󰡔계원필경집󰡕을 제외하면 검색된 자료는 대부분 문집류이다. 이들을 내용적으로 분류하자면 베트남의 역사, 지리, 외교, 제도, 인물, 물산, 표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에서도 조선시대 사행(使行)을 통해서 베트남의 사신을 만나거나, 그 나라의 정황을 소개한 문집이 적지 않다. 가장 대표적인 글은 이수광(李睟光)안남국사신창화문답록(安南國使臣唱和文答錄)이다. 이 글은 조선시대 베트남에 대한 인식을 언급할 때 많이 사용되는 자료이다.16) 이 글은 1597(선조 30) 이수광이 북경에 사행을 갔다가 베트남 사신 풍칵코안[馮克寬]과 교류한 후 귀국하여 그 필담 내용과 수창한 시를 모아 펴낸 글이다. 이 글은 이후 다른 문집에서 수차례 인용되고 있다. 이수광의 안남국사신창화문답록과 관련된 글이 수록된 문집은 다음과 같다.17)

     

    󰡔芝峯集󰡕 芝峯先生集 8 安南國使臣唱和文答錄

    󰡔梅窓集󰡕 梅窓先生文集 4 跋 題李芝峯安南使臣唱和集後(鄭士信)

    󰡔少陵集󰡕 少陵先生文集 3 雜著 李芝峯安南使臣唱和集跋(李尙毅)

    󰡔五山集󰡕 5 跋 安南國使臣唱和詩集跋(車天輅)

    󰡔蒼石集󰡕 蒼石先生文集 3 詩 挽李芝峯(李埈)

    󰡔靑莊館全書󰡕 35 淸脾錄[] 芝峯詩播遠國(李德懋)

     

    한편 위의 [4]에서 나타난 관련기사수를 중심으로 계량적 비교를 한다면,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지봉유설󰡕(󰡔지봉집󰡕 포함, 李睟光) 33

    󰡔燕行紀󰡕(徐浩修) 24

    󰡔오주연문장전산고󰡕 21

    󰡔硏經齋全集󰡕(成海應),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丁若鏞) 13

    󰡔청장관전서󰡕(李德懋) 8

    󰡔星湖僿說󰡕(李瀷) 6

     

    베트남 관련 데이터의 노출 건수를 우선적으로 생각한다면, 위의 자료부터 살펴보는 것이 베트남 관련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수월한 방법이 될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계량적 비교가 내용의 정확도를 담보하지는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이 자료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표류관련 기록을 포함하고 있는 위백규(魏伯珪)󰡔해상록(海上錄)18)󰡕과  정약용(丁若鏞)󰡔경세유표(經世遺表)19)󰡕도 있다. 그리고 진주사람 조완벽(趙完璧)이 일본 무역선을 타고 베트남에 3번을 다녀온 기록20) 등도 많이 인용되는 기록이다.

    그리고 백과전서인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는 베트남의 역사를 언급하면서, 󰡔안남지략(安南志略)󰡕, 󰡔안남잡기(安南雜記)󰡕(李仙根), 󰡔안남록(安南錄)󰡕, 󰡔안남기유(安南紀遊)󰡕(潘鼎珪), 󰡔안남국지(安南國志)󰡕의 사료명이 거론되었다.21) 특히 魏崱󰡔안남지략󰡕은 베트남사 연구에서도 많이 인용되고 있어서,22) 중요한 사료로 인식된다. 한국고전종합D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의 구체적인 목록은 [별첨 표1]을 참고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국내에서 제공되는 웹사이트 중 중국측 사료를 검토해보자. 위에서도 잠깐 언급하였지만, 󰡔명실록(明實錄)󰡕󰡔청실록(淸實錄)󰡕이 먼저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명실록󰡕은 명대 황제 13(十三朝)에 대한 편년체 사서이다. 󰡔청실록󰡕은 청나라 태조 누르하치로부터 목종(穆宗) 동치제(同治帝)까지 10대 황제의 통치기록을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이다. 국사편찬위원회는 2014년 대만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歷史語言硏究所)와 협약을 맺어 원문텍스트와 원본이미지를 제공받았고 2015년 말부터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저본은 북평도서관(北平圖書館) 소장 홍격본(紅格本)이다.23) 이 사이트에서 베트남 관련 주요 키워드로 검색하면 원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다. 베트남으로부터 연행사로 왔던 인물을 키워드로 넣고 확인하면, 당시의 베트남의 외교활동과 한-베 연행사 교류활동을 더욱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중국 푸단대학이 베트남 사회과학원 한놈연구소와 협력하여 2010년 간행한 󰡔월남한문연행문헌집성(越南漢文燕行文獻集成)󰡕(越南所藏篇)에 기록된 53명의 문인24)을 검색어로 활용하면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중국정사󰡕에서 베트남과 관련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중국정사 중에서 외국전을 모아서 역주작업을 통해 번역하여 시리즈로 출간(2009~2014)하였고, 2012년부터 순차적으로 동북아역사넷을 통해 제공하였다.25) 외국전은 중원국가의 입장에서 동방, 서방, 남방 민족의 사적을 기록한 것이다. 베트남은 교지, 안남, 월남 등의 이름으로 표기되었으며, 베트남 중부 이남 지역의 사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임읍(林邑), 부남(扶南) , 점성(占城) 등의 기록도 확인해야 한다. 편목(篇目) 만으로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동북아역사넷 중국정사 외국전 중 베트남 관련 사료 목록

    사료명

    기사제목

    URL

    󰡔史記󰡕 116 西南夷列傳 第56

    남월이 평정된 뒤 구군(九郡)을 설치함

    http://contents.nahf.or.kr/id/NAHF.jo.k_0001_0113_0120

    󰡔前漢書󰡕 95 西南夷兩粵朝鮮傳
    65

    남월이 평정된 뒤 구군(九郡)을 설치함

    http://contents.nahf.or.kr/id/NAHF.jo.k_0002_0095_0020_0150

    󰡔後漢書󰡕 116 南蠻西南夷列傳
    76 

    남월(南越)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03_0116_0020

    󰡔晉書󰡕 97 列傳 第67 四夷

    임읍국(林邑國) 부남국(扶南國)

    http://contents.nahf.or.kr/id/NAHF.jo.k_0005_0097_0100

    󰡔宋書󰡕 97 列傳 第57 夷蠻

    남이서남이(南夷西南夷)

    http://contents.nahf.or.kr/id/NAHF.jo.k_0006_0097_0010

    󰡔南齊書󰡕 58 列傳 第39

    교주(交州)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07_0058_0050

    󰡔梁書󰡕 54 列傳 第48 諸夷

    해남제국(海南諸國)
    임읍국(林邑國) 부남국(扶南國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08_0054_0010

    󰡔隋書󰡕 82 列傳 第47 南蠻

    임읍(林邑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13_0082_0020

    󰡔南史󰡕 78 列傳 第68 夷貊 上 

    해남제국(海南諸國)
    임읍국(林邑國) 부남국(扶南國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14_0078_0010

    󰡔北史󰡕 95 列傳 第83

    임읍(林邑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15_0095_0030

    󰡔舊唐書󰡕 197 列傳 第147
    南蠻西南蠻

    임읍(林邑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16_0197_0010

    󰡔新唐書󰡕 222下 列傳
    147

    남만(南蠻)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17_0222

    󰡔五代史󰡕 74 四夷附錄 第3

    점성(占城)

    http://contents.nahf.or.kr/id/NAHF.jo.k_0019_0074_0290

    󰡔宋史󰡕 488 列傳 第247 外國 4

    교지(交阯)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20_0488_0010

    󰡔元史󰡕 209 列傳 第96

    안남전(安南傳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23_0209_0010

    󰡔明史󰡕 321 列傳 第209 外國 2

    안남(安南)

    http://contents.nahf.or.kr/id/NAHF.jo.d_0024_0321

     

     

    3. 베트남의 전근대 사료 현황과 활용

    베트남 전근대 역사자료의 디지털화 현황은 필자의 제한된 능력으로 전체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다만, 보존재단26)에서 제공하는 것을 1차적 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보존재단에서는 Chino Cienega Foundation(), The International Music and Art Foundation(리히텐슈타인), the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U.S. Embassy(하노이) 등의 지원으로 고전적(古典籍) 디지털화를 진행하였다. 웹서비스 중 서지사항을 확인하면 디지털화가 진행된 시기는 2008~2009년인 것으로 보인다. 여러 자료가 제공되는데 그 중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보존재단에서 구축된 자료는 1,249책이다. 이들 자료는 경()-()-()-()의 체제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經部 68, 史部 371, 子部 400, 集部 410책이 있다. 이 중 史部에 속한 371책은 다시 정리하면 총 169종에 해당하며 [별첨 표2] 목록과 같다.

    한편 베트남국립도서관에서도 원본이미지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7) 여기에서는 총 1,908133,495면의 원본이미지가 제공된다. 이중에는 보존재단에서 제공하는 원본이미지와 동일한 자료가 서비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예컨대 아래 [그림2]에서 원본이미지의 예시로 들은 󰡔대남실록전편(大南寔錄前編)󰡕의 경우 두 기관의 이미지를 비교하니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8) 그렇기 때문에 보존재단에서 베트남국립도서관 소장자료를 디지털 스캐닝한 이후 동일자료를 도서관측에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서는 Verdian이라는 솔루션을 사용하여 원본이미지를 인터넷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후 지속적인 디지털화 작업을 통해 자료가 추가되었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책은 보존재단의 자료보다 659책이 많은 1,908책이다. 이 두 자료군을 상세하게 비교하지는 못했지만, 일견해서 비교했을 때 중국정사류의 원본이 추가된 것으로 확인된다.29) 다만, 베트남국립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사료의 경우는 분류체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체목록만 제공된다.

    본고에서는 사부분류 체제에 따라 정리된 보존재단의 디지털자료를 대상으로 자료를 소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5] 베트남놈보존재단 제공 주요자료목록

    구분

    건수

    주요자료

    통사류

    37

    大越史記全書, 大南寔錄前編, 大越史記捷綠總序, 黎阮年代, 黎朝史記, 御製越史總詠,
    越鑑通考, 越史, 越史鏡, 越史新約全編, 欽定越史通鑑綱目

    문서류

    5

    高駢奏書地稿, 國朝書契, 詔表, 敕封廣澤大王, 勅封雜抄

    지리류

    26

    嘉定通志, 南國地輿誌, 大南一統志, 大越地輿全編, 安南一統志, 安南地理搞, 地局地圖, 天南地勢開正地里國語, 太平風物誌, 皇越地輿誌, 皇朝一統地輿誌

    인물
    (관원,과거)

    13

    官吏陞銜縂册, 國朝登科錄, 國朝鄉科錄, 南五正村官員上下簿, 登科錄搜講, 武班銜册,
    文班銜册, 鼎鍥大越歷朝登科錄, 歷代名臣言行綠, 名臣事略, 天南人物

    족보 보학

    18

    江氏家譜, 段族譜, 慕澤黎氏家譜事跡記, 傘圓山玉譜, 瑞應家譜, 玉曆至寶編, 阮堂譜記, 阮族家譜, 䧺王玉譜, 粤常氏季朝功臣三位大王玉譜古籙

    제도 관련

    16

    國朝律學揀要, 大南官制, 大南典例撮要, 六部小册, 吏部條例, 皇越新律, 皇越律例,
    欽定大南會典事例

    백과전서

    3

    嘉定通志, 歷朝憲章類誌, 越鑑通考

     

    위의 표는 보존재단에서 제공하는 원본이미지 주요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전체 169종의 자료 중 118종의 자료만을 내용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하였다(자료별 세부 분류는 [별첨 표2] 참조). 이 자료 중에는 󰡔가정통지(嘉定通志)30)󰡕처럼 필자가 지리류와 백과전서 2가지로 중복 분류한 경우도 있다. 나머지 자료는 내용을 깊게 분석하지 않으면 분류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목과 목차 정도로만 구분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자료 중에서 주목되는 것은 베트남사 연구의 기본사료로 평가되는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대남실록전편(大南寔錄前編)󰡕이다. 그동안 국내 도서관에 일부 소장되어서 열람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전공자가 아니면 직접 열람하기 쉽지 않은 자료였다.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의 경우 중국의 위키문고(維基文庫)에서 텍스트를 제공하고 있어서 전문을 검색할 수 있다.31) 하지만 위키문고가 사용자 참여형 웹사이트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고,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장담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보존재단에서는 원본자료 이미지와, 원문텍스트, 음독, 현대문번역까지 다양한 서비스로 제공하며, 텍스트에 대한 검색도 지원하고 있다.32)

     

     

    다만 아직까지는 고도화된 웹검색시스템이 제공되지 않는다. 향후 검색엔진이 도입되어 양질의 검색이 지원되길 기대한다. 그렇지만 도서관에 소장된 󰡔대월사기전서󰡕를 웹사이트를 통해 원본과 원문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필자와 같은 비전공자도 베트남 기본사료를 인터넷으로 쉽게 찾아 볼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베트남 전근대 사료 중 대표적인 󰡔대남실록전편(大南寔錄前編)󰡕을 보자. 아직까지 이 자료에 대한 텍스트 서비스는 완전하지 않다.33) 역시 베트남국립도서관 소장 원본자료 전체의 원본이미지는 보존재단에서 제공하고 있고, 그 중 범례에 해당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다.

     

     

    다음으로 베트남의 제도사 관련 자료로서 󰡔대남전례촬요(大南典例撮要)󰡕(1909[維新己酉孟冬])34)를 살펴보자. 󰡔대남전례촬요󰡕吏例, 戶例, 禮例, 工例, 兵例의 편목을 가진 책으로 나누어져있다. 刑例는 따로 확인되지 않았으나, 刑律과 관련된 󰡔신간형부칙례(新刊刑部則例)󰡕(阮克煒, 1900[成泰庚子秋])35) 등 형률 관계 자료명이 여럿 보인다. 서명과 편목의 형태로 보아 전통시대 베트남의 법전으로 판단된다. 이중에서 吏例의 목록을 입력하여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吏例

    府院部閣 階制品級[附北圻官吏現額] 督撫布按

    督學敎訓 佐領吏典 知府縣州

    該總副總 權攝權暑 分派候補

    試差期滿 起復 按缺銓補[附武階改衘例]

    擧知 挑選監廕 選用秀士

    除授廕授 誥憑統例 議敍賞格[附墾荒賞例]

    朝參 佩牌 掌領印篆

    錫封 封贈父母[附追贈制] 處分

    察覈員役 廻避 改正

    養親省親 告休 丁艱

    査牧誥憑 議設會員[附設日報局] 釐定官方

     

    吏例의 목록 중 필자가 볼드체로 표시한 부원부각(府院部閣)계제품급(階制品級)의 내용은 19세기 베트남 응우옌()왕조의 관직제도를 개관할 수 있는 주요 기사이다. 부원부각은 베트남의 관제(官制)에 대한 내용으로, 추밀원(樞密院)내각(內閣) 함께 工部가 주요 기구로서 국정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자료에서는 기타 여러 기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무슨 업무를 담당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5] 참조)

    아울러 계제품급吏例에만 해당하지만, 관부별로 관직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1품부터 종9품까지 모두 18개의 품급으로 구성되고 문산계와 무산계로 구분된 베트남 응우옌[]왕조의 주요 관직명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5] 󰡔대남전례촬요󰡕 吏例 府院部閣 목록

    관부

    비고

    尊人府

    []穆之序紀親疏之列 及養給孤幻 優卹喪婚之事 悉關之

    管領大臣係由 特簡無定員

    屬員有府丞司務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機密院

    明命十六年 諭軍國要機事關重大 必須倣宋之樞密院 淸之軍機處 斟酌行之
    別爲一所俾有專責

    充院大臣 用文武三品以上官四員 奉旨簡放

    屬員有員外主事司務編修[均於部院內遴出充補]

    集賢殿

    講求經理談論治道

    經筵講官[用文一二品官充之] 經筵日講官[用文二三品官充之] 侍講學士 侍讀承旨
    著作修撰 竝充經筵起居注筆帖式[八九品隨用]

    吏部

    文官銓補級紀賞敍課績考成之法爵廕封贈之典繕詔敕誥命以達綸音修縉紳全編以詳額籍悉關之

    尙書一左右參知 各一左右侍郞 各一後增設辦理

    属員有郞中員外郞主事司務八九品未入流書吏[諸部官屬同]

    戶部

    丁田貢賦金幣轉通府庫儲積貸物貴賤歛散准駁之宜悉關之

    禮部

    朝會慶賀祀享尊封省方命將敦鄰柔達學校科擧之規耆壽行義之褒神人封謚之法悉關之

    兵部

    武職之銓除軍士之簡閱戎戍徵發兵丁揀選功過覈辦紳弁冊籍悉關之

    刑部

    刑名法律奏讞査擬重 疑案之覆閱獄禁繫囚之審理悉關之

    工部

    土木城池舟艦材料工匠程式悉關之

    內閣

    [明命九年初置文書房 十年改爲內閣]

    機要之地特簡侍從以備顧問寶冊制誥章奏敕命悉[關之]

    充辦員以部院三四品官臨期候 簡例定不置二品官

    属員以翰林院充之[班在六部之次]

    都察院

    [嘉隆三年設]

    獻納紏彈之事悉以委之諸科給事中諸道監察御史皆隷焉 左右都御史[總督兼衘]
    左右副都御史[巡撫兼衘]

    属員有錄事[正七品] 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通政使司

    掌達天下之章奏 通政使通政副使

    属有員外郞主事司務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大理寺

    [成泰十年十一月停設]

    之囚疑難之案與刑部會審其蹕控京控諸壯悉關之 與刑部都察院竝列爲三法司

    大理寺卿大理寺少卿

    属有員外郞主事司務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翰林院

    詞翰之撰擬典簿之討論諸有關於辭命者悉關之

    掌院學士 直學士 侍讀學士 侍講學士 侍讀侍講承旨 修撰 編修 檢討
    典籍 典簿 供奉 待詔 等職

    太常寺

    [掌慶賀祭祀之儀節]

     

    光祿寺

    [掌祭祀燕饗之需]

     

    鴻臚寺

    [掌慶賀朝會班位升降之節]

    寺卿少卿[各一] 属有員外郞主事司務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三寺同]

    太僕寺

    [掌儀仗馬政之事] 統於兵部 堂属與諸寺同

     

    內務府

    御用服飾財貸器皿四方貢獻百官賞賚悉關之
    所屬有金銀錦縀南綵袍裳玻瓈油蠟瓷器藥材演戲九庫[統於戶部]

    侍郞郞中主事司務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武庫

    [統於兵部]

    砲鎗兵仗軍器物料之積悉關之

    倉場

    [統於戶部]

    侍郞一員外郞主事司務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木倉

    [明命八年議設]

    郎中員外主事司務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郵政司

    [明命四年議設] 統於兵部

    專司傳逮機務緩急之宜轉交所關之衙

    主事司務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火礮司 [統於兵部]

    專管鎗砲火藥二庫凡歲周會修砲藥數目進 賢

    郎中員外主事司務正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漕政

    [嘉隆三年設]

    帮船之漕運船艘之稅額悉關之 屬有南北二漕

    兼管大臣[用文武正二品以上官奉 特簡年一更換] 漕政使副使各一

    屬有主事司務正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太醫院

    院使一 有御醫副御醫左右院判醫正醫副醫生未入流醫生外科醫正醫副醫生

    欽天監

    掌曆象以授人辰

    管領大臣奉 特簡無定員 有監正監副五官正靈臺郞恪謹司八九品書吏未入流書吏

    國子監

    [嘉隆三年設]

    掌成均敎育之政

    兼領大臣奉 簡派無專設 有祭酒司僕學正監丞典簿典籍未入流書吏

     

    내용항목의 줄바꿈은 원본의 형태에 따랐다. 원본 중 세주(細註)는 꺽쇠([ ])로 표시하였다.

     

    [6] 󰡔대남전례촬요󰡕 吏例 階制品級 목록

    階制品級[附北圻官吏現額]

    例明命年間定

    품급

    구분

    문산계

    무산계

    正一品

    품계

    文 誥授特進榮祿大夫 謚文誼

    武 誥授特進壯武將軍 謚武毅

    관직

    勤政殿大學士 文明殿大學士 武顯殿大學士 東閣大學士

    都統府都統掌府事

    從一品

    품계

    文 榮綠代父 謚文懿

    武 壯武將軍 謚武恪

    관직

    協辦大學

    五軍都統府都統

    正二品

    품계

    文 資善大夫 謚莊亮

    武 嚴威將軍 謚忠謹

    관직

    尙書 總督 都御史

    統制 提督

    從二品

    품계

    文中奉大夫 謚莊凱

    武雄威將軍 謚忠奮

    관직

    參知 巡撫 副都御史

    掌衛 輕車都尉 都指揮使 副提督

    正三品

    품계

    文 嘉議大夫 謚溫穆

    武 英勇將軍 謚英肅

    관직

    掌院學士 侍郞 大理寺卿 太常寺卿 布政使 直學士 通政使 詹事 府尹

    一等侍衛 指揮使 親禁兵衛尉 領兵

    從三品

    품계

    文 中議大夫 謚溫靜

    武 奋勇將軍 謚英邁

    관직

    光祿寺卿 太僕寺卿 通政副使

    兵馬使 精兵衛尉 [親禁]兵副衛尉
    副領兵 駙馬都尉

    正四品

    품계

    文 中順大夫 謚端謹

    武 明義都尉 謚壯翼

    관직

    鴻臚寺卿 大理寺少卿 太常寺少卿 祭酒 郞中 侍讀學士 少詹事 太醫院使 漕政使 府丞 按察使

    管奇 二等侍衛 兵馬副使 精兵副衛尉
    城守尉

    從四品

    품계

    文 朝列大夫 謚端諒

    武 信義都尉 謚壯義

    관직

    光祿寺少卿 太僕寺少卿 掌印給事中 侍講學士 京畿道御史 司業 祠祭使 管道

    副管奇 宣慰使 騎都尉

    正五品

    품계

    文 奉議大夫 謚端直

    武 武功都尉 謚壯鋭

    관직

    鴻臚寺少卿 監察御史 翰林院侍讀 員外郞 長史 祠祭副使 御醫 監正 漕政副使 督學 副管道

    三等侍衛 親禁兵正隊長

    從五品

    품계

    文 奉誠大夫 謚端愼

    武 建功都尉 謚壯顯

    관직

    翰林院侍講 翰林院承旨 廟郞 監副 副長史 副御醫 知府

    精兵正隊 四等侍衛 親禁兵政隊長率隊
    宣慰副使 飛騎尉

    正六品

    품계

    文 敕授承務郞 謚敦雅

    武 壯節騎尉 謚雄勁

    관직

    翰林院著作 主事 同知府 京縣知縣 醫左院判 五官正

    五等侍衛 錦衣校尉 精兵正隊長率隊
    土兵正隊 助國郞

    從六品

    품계

    文 文林郞 謚敦肅

    武 壯節佐騎尉 謚雄節

    관직

    翰林院修撰 知縣知州 廟丞 學正 通判 土知府 醫右院判

    親禁兵正隊長 恩騎尉 土兵正隊長率隊

    正七品

    품계

    文 徵仕郞 謚敦簡

    武 効忠騎尉 謚雄果

    관직

    翰林院編修 司務 錄事 監承 監靈臺郞 敎授 經歷

    親禁兵正隊長 內造司正匠 精兵正隊長

    從七品

    품계

    文 徵仕佐郞 謚敦敬

    武 効忠佐騎尉 謚雄敢

    관직

    翰林院檢討 醫正 省靈臺郞 主知縣知州

    精兵隊長 奉恩尉 驛丞 從七品千戶
    內造副司匠

    正八品

    품계

    文 修職郞 謚恭允

    武 忠信校尉 謚勇堅

    관직

    翰林院典籍 訓導 正八品書吏

    正八品隊長 正八品百戶 驛目
    正八品正司匠

    從八品

    품계

    文 修職佐郞 謚恭懿

    武 忠信佐校尉 謚勇懋

    관직

    翰林院典簿 醫副 從八品書吏

    從八品隊長 從八品百戶 承恩尉
    從八品副司匠

    正九品

    품계

    文 登仕郞 謚恭茂

    武 効力校尉 謚勇勵

    관직

    翰林院供奉 正九品書吏 太醫醫正 祀丞 府吏目

    正九品隊長 府隸目 正九品百戶
    正九品匠目

    從九品

    품계

    文 登仕佐郞 謚恭樸

    武 効力佐校尉 謚勇敏

    관직

    翰林院待詔 從九品書吏 省醫生 縣吏目 正總

    從九品隊長 從九品百戶 顯隷目
    從九品匠目

     

    [6]에서처럼 계제품급의 내용이 明命연간(1820~1840)에 규정된 것으로 본다면, 󰡔대남전례촬요󰡕는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왕조의 제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기타 자료 중 주목되는 자료로는 베트남의 지리와 물산을 확인할 수 있는 지리지류의 자료가 있다. 모두 26종의 자료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대남일통지(大南一統志)󰡕(高春育, 劉德稱, 陳燦, 1909[維新三年十二月初八日])37)는 총 권17의 지리지로서, 沿革, 形勢, 氣候, 風俗, 城池, 學校, 戶口, 田賦, 山川, 溪潭, 古蹟, 祠廟, 寺觀, 關汛, 驛站, 里路, 津渡, 橋梁, 堤堰, 市集, 人物, 土産 등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근대 지리지는 특정 지역의 지리적 상황을 비롯하여 역사, 행정, 경제, 사회, 문화, 인물 등을 자세하게 알려주는 박물학적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이 󰡔대남일통지󰡕를 비롯한 지리지는 베트남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38)

    그리고 󰡔역조헌장류지(歷朝憲章類誌)󰡕(潘輝注)39)의 경우 백과전서식의 서술체제를 따르고 있으며, 주요 편목은 輿地志, 人物志, 官職志, 禮儀志, 科目志, 國用志, 刑律志, 兵制志, 文籍志, 邦交志 등이다.40) 보존재단에서 제공하는 󰡔역조헌장류지󰡕는 여지지(1~5)와 형률지(33)만 전한다.

    베트남 사료 중에서 원문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몇 개에 불과하다. 위에서 언급한 󰡔대월사기전서󰡕를 비롯하여 󰡔안남지략󰡕󰡔월사략(越史略)󰡕 정도이다. 이 중 󰡔대월사기전서󰡕를 제외하면, 중국 측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에서 제공하는 󰡔안남지략󰡕󰡔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본을 저본으로 하여 텍스트를 구축하였으며, 󰡔월사략󰡕󰡔수산각총서(守山閣叢書)󰡕본을 저본으로 하여 텍스트를 구축하였다. 두 책 모두 원본이미지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텍스트 자료의 확인 등 활용도가 높은 자료이다. 또한 미국 인터넷 아카이브에서도 󰡔흠정사고전서󰡕󰡔안남지략󰡕을 원본이미지로 제공한다.

     

     

    자료명

    URL

    서비스 기관

    비고

    1

    대월사기전서

    http://nomfoundation.org/nom-project/History-of-Greater-Vietnam?uiLang=en

    베트남놈보존재단

    원문/원본/번역문

    https://zh.wikisource.org/wiki/%E5%A4%A7%E8%B6%8A%E5%8F%B2%E8%A8%98%E5%85%A8%E6%9B%B8

    중국 위키문서(위키소스)

    원문

    2

    안남지략

    http://ctext.org/wiki.pl?if=gb&res=588578&remap=gb

    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

    원문/원본

    https://archive.org/search.php?query=%E5%AE%89%E5%8D%97%E5%BF%97%E7%95%A5

    미국 인터넷 아카이브

    원본

    https://zh.wikisource.org/wiki/%E5%AE%89%E5%8D%97%E8%AA%8C%E7%95%A5

    중국 위키문서(위키소스)

    원문

    3

    월사략

    http://ctext.org/searchbooks.pl?if=gb&remap=gb&searchu=%E8%B6%8A%E5%8F%B2%E7%95%A5

    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

    원문/원본

    http://kyudb.snu.ac.kr/series/main.do?item_cd=VBS

    중국 위키문서(위키소스)

    원문

     

    󰡔안남지략󰡕은 행정, 지리, 물산, 인물, 세가, 잡기,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는 백과전서식 사서라는 자료적 성격 때문인지, 이미 많은 연구에서 인용되었다. 이 자료는 법제도를 연구하는데 활용되기도 하였으며,41) 중세 베트남의 외교관계를 설명하는데도 인용되었다.42) 󰡔월사략󰡕은 유인선의 연구에 따르면 󰡔대월사기(大越史記)󰡕보다 한 세대 후인 쩐[] 廢帝(1377~1388) 때 또는 그 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데, 베트남에는 없고 중국에만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인선은 명나라가 15세기 초 베트남을 지배할 때 가져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66 부록)에 근거하여 원제목이 󰡔대월사략(大越史略)󰡕임을 밝혔다.43)

    이상에서 살펴본 베트남 관련 사료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공개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지금까지 베트남사 연구가 진작되기 어려웠던 이유 중 하나는 사료에 대한 접근성 때문이다. 그렇지만 위에서 언급한 사료와 [별첨 표2]의 목록을 통해서 확인한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지 않은 보존재단의 集部經部子部자료들도 중요한 연구성과를 낼 수 있는 자료이다.44) 특히 집부의 자료는 주로 문집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푸단대학과 베트남 사회과학원 한놈연구원과 공동으로 간행한 󰡔월남한문연행문헌집성󰡕(越南所藏篇)(2010)45)과 비교한다면 사행과 관련된 추가자료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개인문집의 성격상 史部로 분류되지 않았을 뿐, 역사와 지리에 관련된 내용도 상당수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경부와 자부의 자료는 베트남의 유학과 불교 그리고 기타 여러 가지 민속학적 측면에서의 사실을 담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료에 대한 연구가 이 논고를 계기로 심화되기 바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보존재단에서 제공하는 베트남 관련 사료는 디지털 역사자료의 형태로 제공되는 만큼, 제도사 등 역사학의 연구를 넘어 민속학, 문화사,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필자는 지난 201755일 베트남 사회과학원의 사회과학도서관 측과의 업무협의를 통해서 현재 고전적류 소장현황과 디지털화 현황을 소개받았다. 이 도서관의 소장 도서는 50여만 권이며, 이 중 1945년 이전 고전적류는 약 8,000여 권이라고 한다. 고도서 수장현황은 대체로 프랑스 식민시기에 수집된 자료이며, 서양 고전적 및 프랑스어 수기문서 등 다양한 형태이다. 그 중에는 󰡔대한지지(大韓地志)󰡕(광무 3[1899])도 확인되어 눈길을 끌었다. 그 외 고지도의 경우 6,000여 건의 지도가 있다. 서양에서 제작된 지도이며, 우리나라 고지도인 󰡔대동여지도󰡕의 평안도지역 부분을 소장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현재 고지도는 지속적으로 보존처리 중에 있다. 보존처리와 같은 맥락에서 디지털 스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 도서관에서는 고전적고지도를 꾸준하게 디지털화 하는데, 4년 전부터 진행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 베트남 사회는 한자문화의 전통이 거의 단절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도서관에 소장된 한적자료의 서지사항 정리가 미흡한 상태이다. 대만 중앙연구원에서도 목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베트남에 소장된 고전적 동양서에 대한 목록정비와 DB구축도 시급한 문제이다. 향후 이러한 디지털 자료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된다면, 베트남사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 맺음말

    이상에서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현황을 전근대사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는 국내에서 제공되는 자료와 베트남 현지 사료로 구분된다. 국내 제공 자료의 경우, 정사류와 조선시대 관찬 편년사서 등으로부터 방대한 개인 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가 있다. 베트남과 관련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검색하면 원하는 자료를 수월하게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중국측 자료 중 명청실록과 중국정사 외국전 역시 베트남사를 연구할 때 중요한 자료이다. 반면 베트남 현지 사료의 경우, 일부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베이스가 있고 베트남국립도서관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웹서비스가 있다. 베트남국립도서관의 소장자료는 당 도서관과 보존재단의 웹사이트를 통해서 제공된다. 다만 원본이미지 중심이라는 한계 때문에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의 활용도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원본이미지 제공 서비스가 베트남사 사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전근대 베트남의 역사, 지리, 제도, 인물 등의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역사정보화의 수준이 꽤 높은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따라 한국사 관련 연구성과는 2000년대의 한국 역사정보화 사업의 추진 이후 상당히 증가되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한국 역사정보화의 특징인 텍스트 기반 데이터베이스 즉 본문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분야의 한국사 연구를 증대시켰다. 이와 같이 디지털 역사자료의 등장은 역사연구의 방법론을 변화시켰으며, 연구 수준도 높여왔다. 이렇게 디지털로 전환된 역사자료는 베트남사를 연구하는데도 효과적일 것이다. 그동안 베트남사를 연구하기 어려웠던 원인 중의 하나는 바로 사료에 대한 접근성 문제였다. 예컨대 동양사 연구에서 1990년대 인터넷으로 공개된 대만 중앙연구원의 25사 전문(全文)이 중요한 변수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같은 시기에 CD-Rom으로 보급된 󰡔사고전서 전자판󰡕(1999) 역시 접하기 어려웠던 사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고, 이는 관련 연구성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본문에서 살펴본 베트남 관련 역사자료의 인터넷 판은 베트남의 역사문화 연구에 필요한 사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접근성을 해결한 셈이다. 물론 필자의 한계에 따라 베트남어로 제공되는 웹사이트 등 모든 역사자료를 정리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본문에서 살펴본 베트남 관련 사료의 현황은 베트남사 연구의 다양성을 담보하는 기본사료임에 분명하다. 보존재단에서는 제공하는 자료 중 [별첨 표2]의 목록에서 정리한 베트남 관련 사료를 잘 분석하고 정리한다면, 베트남의 전통시대에 대한 연구가 상당부분 진척될 것으로 기대된다.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원본이미지뿐 아니라 텍스트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하다. 베트남사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디지털 역사자료 구축하는 방안을 정리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음은 한국 역사정보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얻은 경험을 베트남 역사자료 구축에 적용한다면 필요한 서비스를 제언한 것이다.

     

    1. 텍스트 자료 중심의 서비스

    2.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부가정보 서비스(메타데이터, 키워드)

    3. 현대문 번역 동시제공 서비스

    4. 검색 중심 서비스(검색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중음가, 이체자 검색 등 연구 선행 필요)

     

    베트남의 역사자료가 이러한 방법으로 디지털화되면, 연구의 양적질적 확대, 두 번째 역사자료에 기반한 문화산업의 발전, 세 번째 고전적 번역인력 양산 및 양성시스템 체계화, 네 번째 인문학을 겸비한 정보화 인력 육성이라는 측면에서 잠재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바로 사료비판의 문제이다. 한국사 뿐 아니라 위에서 살펴본 바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 역시 이전보다 자료를 찾기 수월하다. 검색한 자료를 무비판적으로 사용한다면 오히려 사료를 오용할 수 있다. 역사연구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사료의 연원과 전후맥락 그리고 연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사료만을 사용하여야 정확한 사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생산자 입장에서도 구축 대상사료를 취사선택하는데 유의해야 한다. 고전적이라는 물리적 형태를 띠었다고 무비판적으로 디지털화하는 것도 바람직한 입장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디지털 역사자료를 이용하는 연구자뿐 아니라, 자료를 구축하는 생산자 역시 엄중한 사료비판의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참고로 본고에 수록된 URL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PDF파일을 다운 받은 후, 해당 URL을 마우스로 선택한다.

    2. “Ctrl+C” 혹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복사를 선택한다.

    3. 웹브라우저(인터넷익스플로러, 크롬 등) 주소창에 “Ctrl+V” 혹은 붙여넣기를 하고 엔터를 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