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KAA
소개
우리 연구소는 2014년 12월 12일
한국고대사 및 고고학 분야의 연구 및 학술조사를 통하여 인문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두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설 연구소로 설립되었다. 이후 경희대학교 연구처 부설 한국고대사 · 고고학 연구센터 (2016.5.1)를 거쳐
2017년 4월 1일 경희대학교 부설 연구소로 독립하였다.
연구소 연혁
-
2019
-
-
10
연구소 개편
-
09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재개
-
-
2017
-
-
04
경희대학교 부설 연구소로 독립
-
-
2014
-
-
12
인문학연구원 부설 한국고대사 · 고고학연구소 설립
-
11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한국사연구지원사업] 선정
-
- 2014 ~ 2017
-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 한국고대사의 합리적 이해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은 2014년 11월 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까지 한국연구재단의 중점연구소 사업
(과제명: “학제 간 협동에 기반한 고조선과 북방문화 연구: 한국고대사 연구허브의 구축을 겸해서”, 과제번호: NRF-2014S1A5B8062948)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실질적인 추진을 위해 2014년 12월 12일 우리 연구소가 설립되었다.남북한에서는 고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과장하거나 심지어 날조하려는 경향이 대두하였다. 한편, 중국에서는 고조선을 비롯하여 고구려·발해의 역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간주하는 견해가 공식화되었다. 우리 연구소는 이러한 비합리적·국수주의적, 패권주의적·신중화주의적 인식과 연구를 비판하면서,
한국고대사 연구를 심화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특히 고조선 문화와 북방문화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한국고대사의 시야를 확대하려는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우리 연구소는 중점연구소 사업을 수행하면서 총 11회의 국내외 학술회의와 28회의 콜로키움을 개최하였다. 그 성과는 4권의 총서와 수십 편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국내외 14개 학회, 기관 등과 학술교류협정을 맺어 한국고대사 연구 허브로서의 위상을 갖추었다.
아울러 4회의 시민강좌와 2회의 교원연수를 열어 성과를 사회와 공유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학부생을 위한 고고아카데미를 개설하여 7명이 대학원에 진학하였으며, 연구교수들은 대학 전임(2명)과 HK+ 연구교수(1명)로 진출하였다.
- 2017 ~ 2019
-
연구소의 내실 강화 및 새로운 연구주제 개발
우리 연구소는 2014~2017년의 연구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비록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연구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17년 10월 1차 연구사업 종료와 함께 3년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하며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갔다.
1차 연구사업을 통해 한국 고대사를 비이성적으로 해석하려는 움직임에 효과적으로 대응한 바,
다음 단계의 사업은 구체적으로 유라시아 각 지역과의 교류를 밝히는 작업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이 기간에 러시아 과학원 시베리아 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 및 몽골-티베트 연구소와의 인적교류 및 세미나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를 교환했다.
- 2019 ~ 현재
-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 한국 고대사의 지평 확대
2년간의 준비과정을 통하여 우리 연구소는 좀 더 넓은 시야와 새로운 자료에 기반한 아젠다로 한국고대사의 지평을 시간적, 공간적으로 확대하는 2단계 도약을 시작했다.
이러한 구상은 2019년 9월 1일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 사업 중 전략적지역연구형 신북방정책 분야의 연구소로 선정되면서 구체화되었다.
연구주제는 “고대 한국-유라시아네트워크와 신 실크로드의 정립”이다 (과제번호 : 2019S1A5C2A01083578).
본 연구는 한국사의 무대를 한반도에만 한정시키거나 혹은 무리하게 유라시아로 넓혀 보려는 시각에서 벗어나
한국과 이웃하며 역사를 함께 했던 북방 유라시아의 여러 지역과 한국고대사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자료를 연구하고 공유하는 것을 주목표로 한다.연차적으로 신북방정책의 주요 대상 지역인 연해주, 만주,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기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그리고 터키에 이르는 유라시아 일대와 한국의 고대 네트워크를 고고학을 중심으로 하는 학제 간 연구로 밝히려고 한다.
그리고 그 연구를 통하여 한국형 신 실크로드라고 할 수 있는 고대 한국-유라시아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며, 각 지역의 전문가를 양성하게 될 것이다.유라시아 지역은 경제적·문화적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곳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북방정책은 한국과 유라시아 여러 나라들 사이의 연계성을 증진함으로써 공동번영의 기틀을 마련하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한반도와 유라시아 지역의 교류 네트워크를 복원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신북방정책의 중요한 학술적 자산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술연구
국내학술회의 | |
---|---|
2015.04. | 제 1회 『한국고대사의 제문제』 |
2015.05. | 제 2회 『고조선 연구의 신지평』 |
2015.09. | 제 3회 『고대 북방과 제민족의 고고학』 |
2016.04. | 제 4회 『고대 동북아 민족의 고고와 역사』 |
2016.09. | 제 5회 『비파형동검문화의 전개와 고조선의 성립』 |
2016.11. | 제 6회 『선비와 고구려·부여』 |
2017.04. | 제 7회 『한반도 출토 비파형동검의 제문제』 |
2017.06. | 제 8회 『고조선사의 제문제』 |
2018.10. | 제 9회 『고고학으로 본 유라시아와 한반도』 |
2019.12. | 제 10회 『동북아시아의 인적·물적 네트워크와 고구려·발해』 |
2020.08. | 제 11회 『고대 유라시아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과 연해주』 |
2020.10. | 제 12회 『유적과 유물로 본 부여의 고대 네트워크』 |
2021.12.11 | 제 13회 『21세기 고조선 연구의 전망』 |
2022.06.10 | 제 14회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대회 겸 중부고고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한반도 중부와 유라시아–교류의 제 양상 』 |
2022.08.18 | 제 15회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회의 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공동 학술 토론회 『고분과 차마구를 통하여 본 흉노와 가야의 비교연구』 |
2022.11.05 | 제 16회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회의 겸 고조선부여사연구회 공동주관 한국고고학전국대회 자유패널 『고조선과 마한: 역사·고고학적 해부』 |
2022.12.10 | 제 17회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회의 겸 한국고대사학회 제 183회 정기학술발표회『한국고대사의 쟁점과 회고』 |
2022.12.22 | 제 18회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회의 겸 2022 고조선단군학회 학술회의『고조선과 주변 세계』 |
2023.10.06 | 제 19회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회의 『2023년도 고조선과 유라시아 유적조사 및 답사의 최신성과』 |
2024.01.24 | 제 20회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회의 『동아시아 역사·고고학의 최신 연구 성과와 동향』 |
2024.05.24 | 제 21회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회의 겸 연구소 설립 10주년 기념 학술회의 『우즈베키스탄 역사를 바라보는 또 다른 시선』 |
2024.06.07 | (제22회) 인문학연구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공동학술대회『기후로 문명교류사를 읽다』 |
국제학술회의 | |
---|---|
2015.10 | 제1회 『고조선의 여명』 |
2016.12. | 제2회 『한중학계의 고구려·발해사 최신 연구 동향』 |
2021.06.18-19 | 제3회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 고조선부여사연구회공동 국제학술회의: 『고조선의 네트워크』 |
2022.11 | (제4회)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국제학술회의-노보시비리스크 소재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중국시베이대학 문화유산학원 공동학술대회『Archaeological Cultures of Siberia in the Context of Cross-Cultural Contacts in Eurasia: : Dedicated to the 3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Scientific Archaeological Excavations in Siberia (1722)』 |
2023.05 | (제5회)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국립문화재연구원-국립무형유산원-카자흐스탄 마르굴란 고고학연구소 공동『한국-카자흐스탄 5천년의 파노라마 국제학술대회』 |
2024.03.25 | (제6회)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공동 국제학술회의『초원과의 만남: 몽골 고고학의 초대 |
콜로키움 | |
---|---|
2014.12.29 | 제 1회 흉노와 내륙아시아 유목제국 |
2015.02.04 | 제2회 동북아시아 일대 인물상을 통하여 본 고조선의 얼굴 |
2015.02.25 | 제3회 식민사관의 蹉跌 - 조선사학회와 식민사학의 제도화 - |
2015.03.11 | 제4회 석기분석에 관한 다윈진화론의 세 가지 형식 |
2015.03.20 | 제5회 중국 요동지역 고인돌 문화의 출현과 형성과정 |
2015.06.10 | 제6회 朝鮮古蹟調査와 야쓰이 세이치(谷井濟一) |
2015.10.28 | 제8회 사이비 역사학, 현황과 문제점 |
2015.11.25 | 제9회 한사군, 식민사학 프레임의 문제 |
2016.01.27 | 제10회 위서의 사회사(1) |
2016.02.15 | 제11회 동아시아 고고학 특강(1) |
2016.02.24 | 제12회 위서(僞書)의 사회사(2) |
2016.03.14 | 제13회 동아시아 고고학 특강(2) |
2016.05.02 | 제14회 동아시아 고고학 특강(3) |
2016.05.03 | 제15회 타율성론의 실상과 허상 |
2016.05.16 | 제16회 국립문화재연구소 최신연구성과와 업무소개 |
2016.08.18 | 제17회 근대 역사학과 민족주의 |
2016.11.16 | 제18회 위서로 보는 동아시아 |
2017.01.13 | 제19회 고구려, 발해 분야에서의 신진연구자 육성 및 연구 활성화 |
2017.03.31 | 제20회 고조선 멸망과 삼한 여러나라 |
2017.04.21 | 제21회 카자흐스탄의 유목문화의 적석목곽분과 황금유물 |
2017.05.12 | 제22회 고대 동아시아의 불교와 의학 |
2017.08.30 | 제23회 고대 한일관계사의 제문제 |
2017.09.19 | 제24회 만주사의 제문제 |
2017.09.27 | 제25회 한국 고고학의 현황과 전망 |
2018.05.03 | 제27회 전국시대 연국燕國의 요동군 통치방식 연구 |
2020.02.04 | 제31회 눈과 손으로 본 사람 뼈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들 |
2020.02.12 | 제32회 금석문을 통한 신라사의 단초 찾기 |
2020.12.17 | 제33회 러시아의 고조선 연구 200년 |
2021.05.13 | 제34회 고유전체를 통해 살펴본 내륙 유라시아인 유전자 다양성의 변화 |
2021.07.01 | 제35회 동부 유라시아론이란 무엇인가? |
2021.07.08 | 제36회 위만조선 성립과 멸망 무렵 유민의 남하 |
2021.08.12 | 제37회 스키타이 신화와 여신상 |
2021.10.21 | 제38회 중세 루시로부터의 유라시아’적’ 시작과 그 이후 과정 |
2022.05.26 | 제39회 아무르 티무르의 생애와 사마르칸트 – 15세기 역사서 승전기(Zafar nama)를 중심으로 |
2022.11.17 | 제 40회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업무와 실제 |
2022.12.02 | 제41회 고고학 유물 탐사에 3D 스캐너를 더하다: 이론과 실제 적용 사례 |
2023.01.19 | 제42회 (신년 특집 명사초청특강) 21세기 한국고고학의 회고와 미래 |
2023.02.24 | 제43회 국보를 캐는 사람들: 고고학자의 발굴이야기 |
2023.09.07 | 제44회 팔미라의 인도 실크: 견직물의 품종 분석과 고고학적 의의 |
2023.10.31 | 제45회 고구려사를 보는 세 가지 시각 |
해외학자 초청 콜로키움 | |
---|---|
2015.09.30 | 제7회 러시아 극동고고학의 최신 성과 |
2018.01.16 | 제26회 시베리아 고고학의 현황과 교육 |
2018.12.04 | 제28회 자바이칼의 흉노제국의 고고학적 연구 |
2019.01.18 | 제29회 Modern Human Origins: Perspectives from Eastern Asia |
2019.04.30 | 제30회 시베리아의 초기 철기시대 문화 |
2020.10.29 | 제1회 해외연구자 초청 콜로키엄 : 말갈 문화의 성립과 일본 북부와의 관계 |
2021.01.21 | 제2회 해외연구자 초청 콜로키엄 : 몽골의 선비(鮮卑) 고고학 최신 연구 성과 -아이라긴 고즈고르 유적을 중심으로- |
2021.04.02 | 제3회 해외연구자 초청 콜로키엄: 소주: 고고·문헌·인류학적 탐색과 그 지구적 확산 |
2021.12.02 | 자바이칼 지역 중세 퉁구스어족의 형성 ― 서쪽으로 이동한 아무르강 상류 말갈문화를 중심으로 |
2022.01.20 |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 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 교류협정 체결 및 기념 강연 |
2022.01.27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합동 해외학자 초청 콜로키움: 몽골의 고대 유목국가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 유목민의 도시 유적: 몽골의 고대 및 중세 토성을 중심으로 |
2022.03.31 |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몽골 과학아카데미 고고학연구소 교류협정 체결 및 기념 강연 |
2022.04.11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합동 해외학자 초청 콜로키움: 흉노의 철 생산 연구 |
2022.08.01 |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경희대학교BK21 글로컬문명교류사 교육연구팀 합동 해외학자 초청 콜로키움 『식단, 기생(寄生) 그리고 선대 푸에블로(Ancestral Pueblo)의 소견: 치료와 처방은 어떻게 고안되었는가』 |
2022.08.02 |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산하 고생물학 연구센터 발족기념 특별강연 『고대 그리스, 폭력, 그리고 민주주의의 여명: 생물고고학적 관점에서』 |
2023.04.03 |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경희대학교 BK21 글로컬문명교류사 교육연구팀 합동 해외학자 초청 콜로키움 『일본과 몽골의 고병리학 소개』 |
2024.01.11 | 해외학자 초청 콜로키움: 『몽골 선비~중세시기 고고학 유적에서 발굴된 유물의 보존처리와 복원』 |
성과확산
교육 | |
---|---|
2015.01.~08. | 고고아카데미 제1기 연수생 교육 |
2016.01. | 교원직무연수 진행 : 고조선사 이해의 길라잡이 |
2016.01.~10. | 고고아카데미 제2기 연수생 교육 |
2016.03.~06. | 2016년도 전반기 한국 고대사 시민강좌 진행 |
2017.01.~10. | 고고아카데미 제3기 연수생 교육 |
2017.03.~04. | 성북문화원 시민역사강좌 진행 : 잊혀진 패자(敗者)의 고대사 |
2020.02.~08. | 고고아카데미 제4기 연수생 교육 |
2021.01.~ | 고고아카데미 제5기 연수생 교육 |
2022.01~ | 고고아카데미 제6기 연수생 교육 |
2023.01.~ | 고고아카데미 제7기 연수생 교육 |
2024.02.~ | 고고아카데미 제8기 연수생 교육 |
연구총서 | |
---|---|
2016.08. | 경희 고대사·고고학 연구총서 1 - 『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발간 |
2016.10. | 경희 고대사·고고학 연구총서 2 - 『한국 청동기시대 공간과 경관』 발간 |
2017.10. | 경희 고대사·고고학 연구총서 3 - 『동북사강』 발간 |
2018.10. | 경희 고대사·고고학 연구총서 4 - 『고구려-수 전쟁』 발간 |
2021.09. | 경희 고대사·고고학 연구총서 5 - 『시베리아 고아시아족 신화론』 발간 |
2022.12. | 경희 고대사·고고학 연구총서 6 -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 발간 |